PCE 물가에 안도 나스닥 2년만에 최고치 뉴욕증시 브리핑

PCE 물가에 안도를 해서 나스닥 지수가 2년만에 최고치를 달성했다고 뉴욕증시 브리핑에서 보고를 했습니다.

뉴욕증권거래소-AFP 출저

PCE 물가 가격지수 안도 뉴욕증시

PCE 물가 가격지수와 뉴욕증시

뉴욕증시 3대지수는 미국의 중앙은행(FED)가 주시를 하고 있는 1월 개인소비지출 (PCE)의 가격지수가 예상치에 부합을 하면서 안도를 하자 일제히 상승을 했습니다.

물가지수가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대표지수 중 하나인 나스닥 지수가 2년만에 사상 최고치로 장을 끝냈습니다.나스닥 지수가 종가 기준으로 최고치를 경신한 것은 2021년 11월 19일 (1만 6057.44) 이후 2년 3개월 만입니다.

29일날에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7.37포인트인 (0.12%) 오른 3만 8996.39로 거래를 마쳤습니다.그리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26.51 포인트(0.52%) 오른 5096.27로,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44.81포인트 (0.90%)로 상승을 한 1만 6091.92로 마감을 했습니다.

투자자들은 1월에 PCE 물가 지표가 예상치에 부합을 했다는 소식에 안도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올해 1월에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4% 올라서 전월의 0.1% 상승을 웃도는 데 비해 1년 만에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다만 이날 수치는 시장이 예상한 수준에 부합을 하고 있습니다.1월의 수치는 지난해 동기 대비로는 2.8% 올라서 전달의 2.9% 상승보다는 둔화를 했습니다.전년 대비 수치는 최근 3년중에 가장 낮은 것으로 시장 예상에 부합을 한 것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PCE 물가 전년 대비 수치 전망

1월에 PCE 물가에서는 전년 대비 수치가 모두 전달보다는 둔화하는 흐름을 보였고 전달 대비로는 가속화 되어서 물가 둔화세가 고르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하지만 이는 1월에 계절적인 요인으로 연초 기업들의 가격인상 등이 맞물려서 나온상황인 만큼 물가 둔화 추세가 훼손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평가입니다.

특히 시장에는 이미 1월에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를 하고 난 후 이런 상황을 예상해왔다는 점에서 시장은 다소 안도를 한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이날 증시에서 S&P500지수 내에 11개 업종 중에서 헬스와 필수소비재를 제외하고 9개 업종이 모두 올랐습니다.

또한,기술과 통신 관련주가 1% 넘게 오르고,부동산과 자재 관련주도 상승을 했습니다.베스트 바는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고 있었지만 여러가지 소식에 의해 1.5% 가량 상승을 했습니다.

스노플레이크는 실망스러운 가이던스와 최고경영자(CEO)의 퇴임 소식으로 약 18% 정도 하락을 했습니다.AMC 엔터테인먼트의 주가는 매출이 예상치를 웃돌아서 손실은 예상보다 작았다는 소식에 올해가 순탄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을 하는 우려 속에 10%를 넘게 밀리고 있습니다.

물가지수 용어 정리 PCE,PPI,CPI

PCE 지수

PCE의 뜻은 개인 소비 지출을 뜻하고 있습니다.PCE는 개인뿐만 아니라 정부 등이 구매한 상품과 서비스 가격에 대해 측정을 하며 상품 대비 서비스 항목의 비중이 비교적으로 높다고 볼수 있습니다.

CPI,PCE의 차이를 알아보면 CPI 지수는 도심 지역의 거주자 중심이고,PCE는 가계 부문 전체 지출을 합한 것으로 더욱 범위가 넓다고 보면 됩니다.또한,CPI는 개인이 직접적으로 구매한 것만 측정을 할수 있으며,PCE 기업,정부 등의 구매도 해당이 되고 있습니다.CPI는 지출 항목이 24개월 마다 변화하고,PCE는 분기마다 변화를 하고 있어서 PCE가 더 세밀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차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PPI 지수

PPI 지수는 생산자 물가 지수를 뜻하고 있습니다.CPI,PCE 지수는 소비자가 지출을 하는 가격이라면,PPI는 반대로 생산자가 판매를 하는 가격이라 볼 수 있습니다.PPI 지수는 CPI 지수의 선행 지표이며,PPI 지수가 오르게 되면,몇 개월 뒤에 CPI 지수도 오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미국에서 주식에 투자할때 가장 중요한 지표를 꼽으라고 한다면 PCE를 말할수 있습니다.이는 미국의 연준(FED) 그리고 파월 의장도 직접적으로 말한 내용들입니다.실제로 FOMC에서 물가와 관련된 발표를 할때 ‘우리는 PCE를 목표로 한다’라고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다음으로 CPI 지수를 알아보겠습니다.

CPI 지수

CPI 지수의 뜻은 소비자 물가 지수를 말하고 있습니다.일반적인 개인이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산출을 해서 지수로 나타내고 있습니다.물가 지수는 보통 YOY 기준으로 파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PCE 소비자물가지수의 산정 알아보기

소비자물가지수는 도시의 가계 평균적인 생계비 내지는 구매력의 변동을 측정하는 유용한 물가지수라고 할수 있습니다.소비자물가지수가 10% 상승을 하면 종전의 소득으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의 서비스 수량이 10% 정도 감소를 합니다.

이것은 봉급생활자가 종전의 소비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출해야 하는 생계비가 10% 더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따라서 소비자물가지수는 인플레이션의 지표로 사용이 됩니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작성에서 중요하게 고려를 해야 할 것은 가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상품은 조사대상으로 선정을 해야 하고 있습니다.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 기준으로 도시가구가 매달 소비를 위하여 지출을 하는 평균금액은 1,849,136원입니다.

이 금액을 1/10,000인 185원이상 지출이 되는 품목이 소비자물가지수 측정에 포함이 되고 있습니다.현재는 489개의 상품과 서비스 품목이 조사대상이고,조사장소는 전국의 37개 도시가 해당이 됩니다.

일단 선정이 된 품목 가운데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를 하는 비중이 큰 품목들에게 높은 비중을 두고 부여를 하고 있습니다.이런 것은 소비자 지출이 큰 상품에 낮은 가중치를 부과하면 소비자물가지수의 현실성이나 공정성이 저하 될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상품별 가중치는 도시평균가구가 해당상품에 지출하는 몫을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따라서 저소득 국가는 고소득 국가에 비해 식품의 가중치가 높고,일본은 미국에 비해 생선회,프랑스는 와인에 가중치를 높게 부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서 작성하여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른 물가상승률은 일반소비자들이 느껴서 체감물가상승률과 차이가 발생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

 

Leave a Comment